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박레고의 이야기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박레고의 이야기

검색하기 폼
  • 분류 전체보기 (10)
    • CSS (2)
    • JavaScript (2)
    • TypeScript (0)
    • React (2)
    • React Native (1)
    • Java (1)
    • Environment (2)
    • AI (0)
  • 방명록

yml (1)
YAML, YML 파일 이해하기

입사할 때에는 프론트엔드 개발자(리액트)였지만,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앵귤러 + 자바(스프링 부트)로 된 프로젝트를 개발하게 됐다. 프론트를 시작하면 package.json을 먼저 살펴보듯이 application.yml을 먼저 살펴보았다. 파이썬처럼 Indent로 구분하나 보군.string은 큰 따옴표("")로 묶지 않아도 되는구나.대시(-)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는 뭘까?... 문법이 궁금해졌다. YAML 파일이란? YAML 파일은 .yml 또는 .yaml 확장자를 사용하며 특정 구문 규칙을 따른다.[.yaml 과 .yml 차이점]결론부터 말하자면 yaml과 yml파일 확장자는 모두 해석 및 구문이 동일하다.이렇게 분리된 이유는, 옛날 Windows에서 Extensions는 파일확장자가 3자로 제한되..

Environment 2024. 12. 10. 21:21
이전 1 다음
이전 다음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  • custom hooks
  • withcredentials
  • jenv
  • 스크롤
  • background-attachment
  • yml
  • bind
  • button
  • useMemo
  • touchableopacity
  • 리액트
  • css
  • yaml
  • jdk
  • React Hooks
  • zoom
  • 상태관리
  • Pressable
  • javascript
  • React
  • 고정
  • window.location
  • this
  • CORS
  • useRef
  • React Native
  • useState
  • useReducer
more
«   2025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
반응형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